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

[경제학] 거시경제 이론의 변수 14.1 국내총생산 국내총생산의 정의 -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 일정 기간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되어 최종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화폐) 가치를 모두 더한 것을 의미한다. - 매크로랜드(Macroland)라는 나라에서 2003년 한 해 동안 밀 3천 톤, 옷 5백 벌, 그리고 신발 1천 켤레를 생산한다고 가정하고, 그리고 밀 1톤의 가격이 50달러, 옷 한 벌의 가격이 20달러, 그리고 신발 한 켤레의 가격이 10달러라고 가정하면, 매크로랜드의 2003년도 국내총생산은 17만 달러가 된다. (3,000 × 50) + (500 × 20) + (1,000 × 10) = 170,000 - 국내총생산은 한 나라의 국민이 얻는 총체적 소득의 지표로 사용되기도 하.. 2022. 6. 22.
[경제학] 거시경제의 기본개념 13.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개념 한국 경제가 잡아야 하는 ‘세 마리 토끼’ 는 경제성장, 물가 안정, 국제수지의 균형이다. 국민소득 - 한 나라 경제 전체에서 얼마만큼의 상품이 생산되었는지에 따라 그 나라 국민의 총체적 소득이 결정된다. 1년 동안 경제 전체에서 생산된 상품의 총가치를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이라고 부름. 그 나라 국민이 1년 동안 얻는 소득과 같다는 의미에서 국민소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국내총생산이 변화해 온 추이를 나타내는 그림으로부터 두 가지 특징 발견된다. (1) 국내총생산이 그동안 지속해서, 그리고 상당히 빠른 속도로 성장 → 경제성장(economic growth) (2) 국내총생산의 성장률이 해마다 조금씩 달라지는 양상 → 경기변동(b.. 2022. 6. 22.
[경영학 원론] 경영 조직/ 지휘/ 통제 첫째 요소는 경영목적의 존재이다. 경영목적에는 포괄적·추상적·전체적인 상위 목적에서부터 구체적·부분적인 하위 목적에 이르는 연쇄 체계가 있으며, 경영조직은 이 연쇄 체계에 대응하여 전체적 목적을 추구하는 전체 조직과 이를 구성하고 또 이에 내포되면서 부분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각종 부분 조직, 즉 부과·영업소 등으로 나누어진다. 부분 조직의 구분 중 가장 널리 행해지고 있는 것은, 경영관리조직과 작업조직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둘째 요소는 많은 협동활동자, 즉 경영 구성원의 존재이다. 조직의 규모가 커지고 분업이 철저해지면, 모든 협동활동자가 목적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협동 활동을 의욕적으로 행한다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많은 사람은 임금 획득 등의 수단으로써 경영조직에 참여한다. 이처럼 경영목적과는 별.. 2022. 6. 21.
[경영학 원론] 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2 / 계획수립 1.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규모 기업 평균의 규모가 비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상장기업은 연평균 약 1억 8천여만 원의 기부활동을 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사회봉사 활동의 절대 규모를 판단할 때는 물론 기부금의 총액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업의 규모에 따라서 사회 봉사 능력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기업 간 비교를 위해서는 사회봉사 활동의 상대적 규모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이 중에서 매출액, 총자산, 세전순이익 등과 대비한 기부금 규모를 측정하는 데 대부분의 기부금이 세제 혜택을 받으므로 세전순이익 대비 기부금의 비율이 기부금의 상대 규모의 측정치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2년간의 자료 전체를 보면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은 0.11%, 총자산 대비 기부금의 비율은 0.08%, 세.. 2022.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