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8 [정책학] 정책학2 3. 정책학의 연구 대상과 접근방법 1) 정책학의 연구 대상 정책학은 정책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정책은 바람직한 사회상태를 이룩하려는 정책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책 수단에 대하여 권위 있는 정부 기관이 공식적으로 결정한 기본 방침이다. 정책은 사회문제의 해결을 정책목표로 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수단을 그 내용으로 하기 때문에 정책학은 문제 지향성을 띠고 있다. (1) 수많은 사회문제 중 일부는 정부에서 정책적 해결을 위하여 신중한 검토를 하게 되는데 이렇게 검토하기로 결정한 사회문제를 정책 문제라고 한다. 정부는 모든 사회문제를 정책 문제로 채택하지 않고 일부는 정책 문제로 채택하는데 이를 정책의제 설정이라고 한다. 즉 사회문제 중 정책의제 설정이 된 것이 정책 문제이다. (2) 어.. 2022. 6. 30. [정책학] 정책학1 1. 정책의 중요성과 정책연구의 필요성 현대국가의 정책은 질적으로 영향이 크며 양적으로도 인간 생활의 모든 부문에 침투하고 있을 정도로 확대되고 다양화된다. 현대국가는 국토방위, 치안 등 전통적인 국가기능 이외에 국제문제, 사회문제, 환경문제 등 거의 모든 중요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적․물적 자원의 획득과 배분을 행한다. - 정책의 중요성: 영향의 광범위성 - 정책학 연구 필요성: 정책이 잘못 결정되거나 잘못 집행되고 평가되면 크게 인류의 운명이 잘못될 수 있고, 잘되는 경우는 인류 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 현실사회에서 왜 정책이 잘못 결정되고, 집행되며, 평가되는 것인가, 그리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등에 관한 질문에 답변을 찾기 위하여 정책학을 등장시켰.. 2022. 6. 29. [정책학] 정책(public policy) 1. 정책의 개념 정책은 바람직한 사회상태를 이룩하려는 정책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 수단에 대하여 권위 있는 정부 기관이 공식적으로 결정한 기본 방침이다. 2. 정책의 구성요소 정책은 원칙적으로 정책목표와 수단의 기본방침만 포함하는 것으로 정책목표와 정책 수단의 세밀한 부분까지 정책 속에서 구체화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 따라서 정책의 구성요소는 정책목표, 정책 수단, 정책대상집단으로 구분한다. 1) 정책목표 (1) 개념 정책을 통하여 이룩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상태. 정책목표는 미래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데 방향성이란 발전지향적 성격, 또는 의지를 나타낸다. 정책을 통해 이룩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상태는 정치체제 내부가 아닌 사회의 상태에 대한 것이 정책의 일반적. 정책목표가 달성되어 나타나.. 2022. 6. 28. [경제학] 경제성장과 발전 22.1 배경 설명 산업혁명과 경제성장 - 넓은 의미에서 보면 국민소득의 전반적 규모가 커지는 것이 경제성장(economic growth)이다. 그러나 인구가 급격히 늘어 그렇게 된 경우에는 1인당 국민소득이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 경제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변화만이 진정한 경제성장이라고 부를 수 있으므로, 엄밀하게 말해 경제성장은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 인류 역사에서 경제성장이라는 개념이 사람들의 본격적인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불과 2백여 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남북문제 - 지속적 성장의 결과 높은 소득수준을 이룩한 나라가 있지만, 정체상태에 빠져 아직도 극심한 빈곤에 허덕이는 나라들도 무척 많다. - 1인당 국민소득이 매우 낮은 국가들을 저소득국(low-in.. 2022. 6. 27.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