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경영
1) 환경경영 정의
- 환경경영은 기업이 환경을 보호하면서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경영 활동이다.
- 자원의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경영 수단이다.
- “환경보호”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달성할 수 있다.
환경경영은 환경오염 물질이 발생한 후 처리하여 환경 법규를 준수하는 사후관리(End of Pipe)와 환경오염물질의 발생을 예방하는 청정생산(Pollution Prevention)을 포함한다.
2) 환경경영 요구 압력 및 환경경영 효과
환경보호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기업은 내외부적으로 환경경영을 실시할 것을 요구받고 있으며, 환경경영을 실시하여 큰 효과를 얻고 있다.
3) 환경경영 목표
기업은 환경경영을 실시하여 환경보호와 기업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고 한다.
기업이 환경경영을 청정생산의 관점에서 실시하여 원ㆍ부자재, 에너지 및 용수 등 제품 생산에 투입되는 자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폐기물 및 폐수 등 환경오염물질의 발생량을 최소화하면 환경보호와 기업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2. 환경경영 실시 방향
기업이 환경경영을 실시하여 환경보호와 비용 절감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옆의 그림과 같이 설계, 구매, 생산 및 마케팅의 전 업무에 환경경영을 실시하여야 한다.
단지 생산과정에만 환경경영을 적용하면 기업은 환경경영을 제대로 실시하지 않는 것이며, 부분적으로 환경경영이 실시되고 있다.
그래서 기업은 환경보호와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
기업의 모든 활동에서 환경경영이 적용될 수 있도록 환경경영체제를 구축하고 운영할 때 기업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1) 친환경 설계(Design for Environmental)
제품 및 생산공정이 자원을 많이 사용하고 환경오염 물질을 많이 배출되도록 설계되고 설치된 다음에 개선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쉽지 않고 비용적으로 손실이 크다.
친환경설계는 설계 단계에서 환경을 고려하여 자원의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오염물질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다.
2) 녹색 구매(Green Purchasing)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원부자재 및 사업 활동에서 사용하는 설비 및 장비를 구매 시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구매하는 활동이 녹색구매이다.
녹색구매는 기업이 소비자로서 환경보호를 실천하는 활동으로서 제품 및 서비스 공급자의 환경경영을 유도하고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생산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기업에서 녹색구매(Green Purchasing)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활동을 한다.
- 원ㆍ부자재 환경성 평가 - 협력 업체 환경성 평가
- 환경친화적 원부자재 개발 활동 - 협력 업체 환경 개선 활동
- 환경마크 취득 제품 / 에너지 절약 제품 구매
3) 청정생산(Pollution Prevention)
청정생산은 환경오염물질의 발생을 예방하고 자원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생산 방식으로서 환경오염 물질이 발생한 후 처리하는 사후관리(End of Pipe)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또한 청정생산은 감소(Reduce), 재사용(Reuse) 및 재활용(Recycle)으로 구성된다.
청정생산은 새로운 기술의 개발보다는 현재까지 관습적으로 해왔던 활동을 다시 검토하여 개선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사례 1] 원/부자재 구매 비용 절감 : 금형 개선
- 개선 방법 : 사출 작업 시 스크랩(Scrap)이 발생하지 않도록 금형을 개선, 사출 작업 후 제품 주위의 불필요한 부분이 스크랩으로 발생한다. 금형을 개선하여 제품 주위의 불필요한 부분을 최소화하였다.
- 개선 비용 : 13,400,000원
- 개선 효과
ㆍ폐합성수지 발생량 : 132톤/년 감소
ㆍ비용 절감 : 348,840,000원/년 절감
[사례 2] 원/부자재 구매 비용 절감 : 세척수 재사용
- 개선 방법 : PET 용기 세척수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세척 공정을 개선, 재활용하기 위해 회수한 용기를 세척할 때 용기 안과 밖을 모두 깨끗한 청수로 세척함으로써 용수를 많이 사용하였다.
용기 안을 세척한 물로 용기 밖을 세척하도록 세척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용수 사용량을 30%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 개선 비용 : 9,000,000원
- 개선 효과
ㆍ용수 사용량 : 20,080 톤/년 절감
ㆍ비용 절감 : 16,636,000 원/년 절감
[사례 3] 폐수처리 비용 절감 : 폐수처리장 설비 개선
- 개선 방법 : 폐수처리장에서 사용하는 펌프 개선, 폐수처리장에서 사용하는 펌프 임펠러를 개선하여 펌프 구동 시 소용되는 전기 사용량을 절약하였다.
- 개선 비용 : 1,640,000 원
- 개선 효과
ㆍ환경오염 물질 배출량 : 90% 감소
ㆍ비용 절감 : 18,000,000 원/년 절감
[사례 4] 폐수처리 비용 절감 : 공정 폐수 재활용
-개선 방법 : 전 공정에서 발생한 폐수를 후속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세척 후 세척물을 씻는 1차/2차/3차 수세 공정에 신수를 사용하고 폐수로 배출함으로써 폐수량이 많고 폐수 위탁 처리비가 연간 약 2억 원에 달하였다. 가장 깨끗한 3차 수세 후 폐수를 1차 수세수로 이용함으로써 폐수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비용을 절감하였다.
- 개선 비용 : 1,300,000 원
[사례 5] 폐기물 처리 비용 절감 : 재활용
- 개선 방법 : 슬러지 연소재를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 슬러지 연소재를 시멘트 공장에서 사용하는 부원료로 사용하도록 공급함으로써 연소재를 재활용하였고, 처리비용을 절감하였다.
- 개선 비용 : 없음
- 개선 효과
ㆍ연소재 재활용으로 매립지 수명 연장
ㆍ비용 절감 : 1,260,000,000 원/년
[사례 6] 에너지 손실 절감 : Steam 공급 압력 조정
- 개선 방법 : 생산공정에 투입하는 Steam의 공급압력을 조정 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스팀의 공급압력을 7Kg/cm2에서 5Kg/cm2로 변경하여 스팀 소요량을 절감하였고, 스팀 생산에 소용되는 연료 사용량이 감소하였다.
- 개선 비용 : 없음
- 개선 효과
ㆍ연료 사용량 : 429,000 liter/년 절감
ㆍ비용 절감 : 60,000,000 원/년 절감
- 개선 효과
ㆍ폐수 발생량 : 2000 톤/일 절감
ㆍ비용 절감 : 72,000,000 원/년 절감
'경제&경영&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원론] 기업과 환경4 / 기업과 경영자의 이해1 (0) | 2022.06.21 |
---|---|
[경영학 원론] 기업과 환경3 (0) | 2022.06.21 |
[경영학 원론] 경영학의 발전2 / 기업과 환경1 (0) | 2022.06.20 |
[경영학 원론] 경영학의 발전1 (0) | 2022.06.20 |
[경영학 원론] 경영학이란2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