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부 환경경영체제
1. 환경경영체제(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환경경영체제는 "지속 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인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의 제품, 활동 및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파악하고 도출된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개선 목표를 수립하고 이행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경영체제이다.
환경경영체제는 환경경영을 기업에서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경영 수단으로서 환경경영 실행 절차 및 임직원의 책임과 권한을 결정한 것이다.
2. 환경경영체제 구축 절차
1) 준비 단계
환경경영체제를 구축하는 첫 단계로서 환경경영 기반을 조성한다.
(1) 환경경영 MIND 조성
환경경영 MIND를 조성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전 사원이 환경경영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2) 환경경영 추진 선언
회사가 환경경영체제를 구축하여 환경경영을 실시한다는 것을 전 사원에게 선언하고 추진 조직을 구성하여 발표한다.
(3) 초기 환경성 검토 실시
회사의 환경관리 현황 및 환경경영 업무의 수행 현황을 파악하여 환경경영체제의 구축 방향을 설정한다.
2) 계획 단계
(1) 환경방침 수립
회사의 환경경영 정책, 목적 및 방향을 선언하는 환경방침을 수립하고 선언한다.
(2) 환경영향평가 실시
회사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환경측면을 파악하고 환경영향을 파악하여 개선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3) 환경 법규 파악
회사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에 적용되는 환경 법규를 파악하여 환경목표 수립 시 반영한다.
(4) 환경목표, 세부 목표, 환경경영 추진계획 수립
환경경영을 실시하기 위한 환경목표, 세부 목표, 환경경영 추진계획을 환경방침, 중요한 환경 측면, 환경 법규, 이해관계자의 요구 사항 등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3) 운영 및 실행 단계
(1) EMS 운영 절차 문서화
환경경영체제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수립하고 문서화한다.
(2) 운영
수립된 환경경영체제를 운영 절차에 따라 이행한다.
(3) 실행
환경목표, 세부 목표에 따라 환경경영 추진계획을 실행한다.
4) 감시 및 측정 단계
(1) 감시 및 측정 실시
환경경영체제 실행 및 운영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적합 사항을 예방하고 실행 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감시 및 측정을 실시한다.
(2) 부적합 사항 시정 및 예방조치 실시
환경경영체제 구축, 운영 및 실행할 때 발생한 부적합 사항을 시정조치하고 동종의 부적합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조치를 한다.
(3) 내부 감사
환경경영체제의 유효성과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한 내부감사를 실시하여 발견된 부적합 사항을 시정조치한다.
5) 지속적 개선 단계
(1) 경영자 검토
환경경영체제의 운영ㆍ실행 결과 및 주변 여건(환경 법규의 변경, 경영 환경, 이해관계자의 관심 사항, 환경경영 규격의 변경 등을 검토하여 환경경영체제의 개선 방향을 도출한다.
(2) 인증 심사
환경경영체제(ISO 14001) 인증을 획득하기 위하여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심사를 받는다.
3. 환경경영체제 구축 및 운영 시 전 직원의 책임과 역할
1) 최고 경영자
최고 경영자는 기업의 모든 조직 및 계층에서 환경경영체제가 도입되고 실행될 수 있도록 환경경영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표명하고, 환경경영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한다.
2) 경영자 대리인
최고 경영자를 대신하여 환경경영체제의 구축 및 운영을 주관하며, 환경경영체제가 ISO 14001 규격에 따라 실행되고 유지됨을 보장한다. 또한, 환경경영성과를 최고 경영자에게 보고한다.
경영자 대리인은 각 부서, 모든 계층에서 환경경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지원ㆍ관리하는 것이지 환경경영체제를 운영하고 실행하는 실무를 책임지지는 않는다. 즉, 환경경영체제를 실행하여야 하는 책임은 모든 부서 및 계층에 있다.
3) 부서장
부서에서 하여야 할 환경경영 활동의 수행을 책임지고, 부서의 담당자를 지정하며, 부서의 업무 활동에 환경경영체제가 적용될 수 있도록 부서의 환경경영 방향을 설정한다.
환경경영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부서원에게 교육하고, 환경경영 활동을 관리하며, 환경경영성과를 경영자 대리인에게 보고한다.
4) 관리자
부서장을 보좌하여 부서의 환경경영 업무를 수행하고 담당업무에 환경경영을 적용한다.
5) 사원
부서의 환경경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부서에서 설정한 환경목표ㆍ세부 목표 및 환경경영 추진계획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활동을 실시한다.
경영자란 누구인가?
개인 경영자는 모든 종류의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는 생명력의 원천이다. 경영자의 리더십이 없다면 모든 “생산요소”는 단지 자원 그 자체로서 머무를 따름이므로 결코 생산물이 될 수 없다. 경영자의 자질과 능력이야말로 기업이 보유한 가장 강력한 경쟁우위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경영자는 그 결정적 중요성, 사회적 명사로서의 그 뛰어난 가시성, 그리고 사회적 기관으로서의 극적인 등장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가장 덜 알려져 있고 사람들이 가장 이해하지 못하는 기관이다. 심지어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조차도 종종 자기 회사의 경영자가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해야 하며, 어떻게 활동하고, 무엇 때문에 그것을 하는지 모를 뿐 아니라 경영자가 그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도 모르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경영자란 누구이며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알아보아야 한다.
위 질문에 대한 두 개의 상식적인 답이 있다.
경영자란 높은 곳에 있는 사람이다. 즉 “경영자”라는 용어는 “상사(boss)”라는 말을 멋있게 부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의 업무를 지휘하는 사람, 다시 말해 “다른 사람들에게 각자의 일을 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자신의 업무를 완수하는 사람”이라는 슬로건에 적합하게 일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경제&경영&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원론] 창업과 기업의 성장 (0) | 2022.06.21 |
---|---|
[경영학 원론] 기업과 경영자의 이해2 (0) | 2022.06.21 |
[경영학 원론] 기업과 환경3 (0) | 2022.06.21 |
[경영학 원론] 기업과 환경2 (0) | 2022.06.20 |
[경영학 원론] 경영학의 발전2 / 기업과 환경1 (0) | 2022.06.20 |
댓글